기본분류

경기도, AI로 도민 안전은 물론 복지와 행정까지 혁신한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부천시, 광주시 3개 기관의 제안 최종 선정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경기도는 ‘2025년 AI 챌린지 프로그램’ 과제로 3개 사업을 선정하고, 안전·복지·행정서비스 분야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혁신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AI 챌린지 프로그램’은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AI 기반 사회문제 해결 지원사업이다. 공공분야에서 효과성을 띠는 AI 기술 보유기업과 도내 시군 및 공공기관을 매칭해 AI 기술 실증 기회를 제공한다.

 

선정된 과제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AI 기반 119 신고접수 및 상황분석 어시스턴트 개발’ ▲부천시 ‘복지 전달 체계 혁신을 위한 온마음 AI복지콜’ ▲광주시 ‘GeniusGov, 생성형 AI 기반 챗·콜 통합 행정 어시스턴트 개발’ 등 3건이다.

 

안전 분야 과제인 ‘AI 기반 119 신고접수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신고 내용을 즉각 문자로 변환하고 핵심 정보를 자동 추출하는 기술이다. ‘음성인식 기반의 119 신고접수 시스템 구축’을 통해 반복적인 질문 없이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재난 신고부터 출동 지령까지의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복지 분야에서는 부천시가 ‘온마음 AI복지콜’을 통해 취약계층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AI 음성 분석으로 통화 중 노령층의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선별하는 기능을 도입한다.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AI 콜 시스템을 활용해 부족한 사회복지 인력을 보완하고,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고령사회 대응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의 행정서비스 과제 ‘GeniusGov(지능형 행정 어시스턴트)’는 LLM(AI 기반 거대언어모델)과 RAG(검색증강생성)를 적용한 통합 챗봇 시스템이다. 음성 인터페이스를 도입해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이고, 24시간 민원 상담, 생활정보 안내, 재난 정보 제공 등 최신 행정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는 공모의 공정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온·오프라인 사전 설명회, 공공-민간 매칭데이 등을 운영했다. 선정 평가에서는 AI의 공공 활용성과 실증 가능성, 사업 효과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으며,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심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했다.

 

생성형 AI, LLM, RAG, 양방향 AI 콜 시스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선정 과제는 4월 착수해 올해 11월까지 실증을 마칠 계획이다. 도는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고 경기도형 디지털 혁신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한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전 산업 분야의 AI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며 “공공분야에서도 안전, 복지 등 AI 적용 시 효과가 더 큰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AI서비스를 지속 발굴해 주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민 안전 및 사회 문제 대응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