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양산시 시민 속의 축제, 강을 넘는 협력, 세계로 향하는 도시 양산

양산시, 10월 황산공원에서 3대 이벤트 열고 ‘미래도시 비전’ 선포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오는 10월 25일, 양산 황산공원에서 열리는 세 가지 대형 행사를 통해 양산시가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는 대장정에 나선다.

 

양산시는 10월 25일 ▲에그夜 페스타 ▲낙동강 협력시대 대전환 선언식 ▲2026 양산 방문의 해 선포식과 낙동강 시월愛 콘서트 등 굵직한 행사를 잇달아 열며 지역의 이름을 전국과 세계로 확장하는 미래도시 비전을 제시한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이제 양산은 시민이 주체가 되고 도시가 무대가 되는, 생활 중심의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며 “시민 속에서 출발해 협력과 연대로 확장되는 도시의 새로운 흐름을 이번 행사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이 주인공인 ‘에그夜 페스타’… 황산공원에 행복이 익다

 

양산은 국내 최대 ‘계란 주산지’이다.

 

지역 자원을 문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시민축제 ‘에그夜 페스타’가 오는 10월 25~26일 황산공원에서 열린다.

 

올해 축제는 참여와 공감이 키워드다.

 

▲ 흑백요리사로 알려진 급식대가 이미영 셰프와 유명 셰프 오세득이 함께하는 ‘에그 쿠킹쇼’ ▲ 시민 요리대결 ‘에그배틀’ ▲ 세계 각국 요리와 계란의 만남 ‘월드 에그스팟’ ▲ 신조어 ‘낙동강라면’을 내세운 라면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특히 축제명 속 한자 ‘夜(밤 야)’처럼 가을밤 야시장 분위기를 재현해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밤의 축제’로 꾸며진다.

 

행사장 전역이 조명과 먹거리, 체험 프로그램으로 꾸며져, 지역민은 물론 관광객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길 예정이다.

 

행사 관계자는 “먹고 즐기는 축제를 넘어,시민 참여형 경제·문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농가 소득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시민 화합을 동시에 이끌어 양산형 축제 모델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협력시대 대전환 선언식’… 7개 도시가 손을 맞잡다

 

같은 날, 황산공원에서는 ‘낙동강 협력시대 대전환 선언식’이 함께 열린다.

 

양산시를 포함한 김해, 밀양, 부산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등 낙동강 유역 7개 도시가 손을 맞잡고, 지방정부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이번 선언은 밀양시가 2025년 4월 ‘낙동강협의회’에 새롭게 합류하면서 더욱 확대된 형태로 개최된다.

 

행사에서는 ‘즐거움이 하나로 연결되는 'CONNECTED 낙동강(樂動江)'’을 공동 비전으로 공유하고, 역사·생태·공간·행정적으로 단절되어 있던 낙동강을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공식화한다.

 

양산시는 낙동강 중류의 중심도시로서, 생태관광·문화교류·교통체계 확충 등 실질적인 협력사업을 주도한다.

 

낙동강협의회는 향후 영남권의 균형발전 거점 네트워크로 확대될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지역 전문가들은 “이번 협력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실행력 있는 연대의 출발”이라며 “낙동강을 매개로 한 상생이 영남권 균형발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6 양산 방문의 해’와 ‘낙동강 시월愛 콘서트’… 세계 속의 양산, 문을 열다

 

축제가 시민의 마음을 모으고, 강 위의 협력이 지역을 잇는다면, 마지막 무대는 전국과 세계로 향하는 도시, 양산이다.

 

양산시는 2026년을 ‘양산 방문의 해’로 선포하며, 전국과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는 대규모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다.

 

주요 관광자원은 최근 전국의 핫플로 떠오르는 황산공원과 낙동강, 세계문화유산 통도사와 영축산, 가족형 체류형 관광지 등으로, 사계절 즐길 수 있는 체험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양산시는 이를 통해 ‘머무는 도시, 다시 찾는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2026년은 양산시가 시 승격 3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기도 하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양산 방문의 해’ 선포에 이어 양산시를 찾은 관광객들과 함께 축하하는 자리인‘낙동강 시월愛 콘서트’를 준비하여 가을밤 황산공원 속에서 아름다운 선율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양산의 강점은 자연, 문화, 산업을 모두 갖춘 복합도시로서의 역량”이라며 “에그야 페스타에서 시민의 힘을 모으고, 낙동강 협력시대에서 지역의 연대를 다져, 2026 방문의 해에는 양산을 대한민국 대표 관광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축제에서 시민이 웃고, 낙동강 위에서 도시가 손잡고, 세계를 향해 길을 여는 양산”

 

▲생활 속 즐거움과 경제 활성화 도모하는 ‘에그夜 페스타’▲도시 간 연대와 공동 번영을 여는 ‘낙동강 협력시대 대전환 선언식’▲전국과 세계 속의 양산으로 도약의 계기가 될 ‘2026 양산 방문의 해, 낙동강 시월愛 콘서트’, 이 세 행사는 각각 다른 주제를 담고 있지만 그 흐름은 하나다.

 

시민에서 시작해 지역이 협력하고, 세계로 나아가는 양산의 비전(축제에서 시민이 웃고, 낙동강 위에서 도시가 손잡고, 전국과 세계를 향해 길을 여는 양산)이다.

 

이제 양산은 단순한 지방도시가 아닌, 미래를 설계하는 지역혁신의 도시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수도권 이외의 지역 중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는 도시, 양산은 활력 있는 지역경제와 성장 가능한 도시 구조를 바탕으로, 지방소멸의 시대에 ‘지속성장의 해답’을 제시하는 상징적 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양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