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신문] 관리자 기자 | 교육부는 11월 27일, 호텔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제12회 교육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교육 공적개발원조 콘퍼런스는 우리나라가 추진해 온 교육 분야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과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한 우리나라의 경험을 국제사회와 나누는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교육을 통한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고 국제적인 상생의 비전과 전략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는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 공적개발원조, 함께 여는 국제교육 협력의 길’을 주제로, 공적개발원조 전문가와 주한카자흐스탄 대사 등 수원국 주요 인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초·중등교육, 직업교육, 고등교육, 특별 분과 등 총 네 개 분과로 구성되며, 대한민국이 추진해 온 주요 교육 공적개발원조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향후 사업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첫 번째는 초·중등교육 관련 분과로, ‘모두를 위한 교육: 교육을 통한 미래 번영’이 주제이다. 해당 분과에서는 교원과 정책 담당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디지털 교육 세계화’, 개발도상국의 교육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기초·문해교육을 지원하는 ‘브릿지 사업’, 인공지능·디지털 교육과 연계한 ‘스템(STEM,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교사 교류를 통해 국제적 역량과 다문화 이해도 향상을 지원하는 ‘다문화가정 대상 국가와의 교육 교류 사업’ 등이 논의된다.
두 번째 분과는 직업교육에 대한 장으로, ‘기술에서 자립으로: 청년과 지역사회를 위한 직업교육과 산학협력’을 논의한다. 아프리카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체계 강화를 위한 ‘베어(BEAR)Ⅲ 사업’, 아세안 국가 등을 대상으로 한국형 직업교육 컨설팅을 제공하는 ‘아세안+6 직업교육’, 수원국 산업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취업 연계 초청 연수 프로그램’ 등이 소개된다.
세 번째 분과는 ‘지식으로 여는 미래: 고등교육을 통한 국제 연대와 혁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국내 대학과 수원국 대학 간 연구협력과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유네스코 유니트윈 사업’, 개발도상국 대학의 학과 신설 등을 지원하는 ‘국제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사업’, 해외 우수 인재의 국내 대학 학위 취득을 지원하는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사업’ 등이 다뤄진다.
네 번째 분과는 특별 분과인 ‘청년 세대의 교육 공적개발원조 참여 경험’ 시간으로, 한국의 젊은 세대가 국제적인 개발 협력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교원 해외 진출 사업’의 일환인 ‘대학생(교·사대생) 해외 교육봉사’와 ‘청년 교원 파견’ 경험자, 그리고 국제기구에서 근무 중인 한국 청년의 발표가 이어진다.
박성민 기획조정실장은 “대한민국은 교육을 통한 성장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초·중등, 고등, 직업교육 등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교육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펼쳐오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이번 콘퍼런스가 미래 세대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진정한 상생의 길을 열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교육부]











